UXUI 디자이너가 CSS를 알아야 하는 것은 필수적은 아니지만, 알고 있으면 디자인 작업을 더욱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
CSS는 디자인 요소의 스타일링을 담당하는 웹 기술로, 디자인 요소의 레이아웃, 색상, 폰트, 크기 등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CSS를 알고 있으면 디자인 요소의 스타일링을 더욱 세밀하게 제어할 수 있고, 개발자와 의사소통을 더욱 원활하게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최근에는 UXUI 디자이너가 HTML/CSS/JavaScript 등의 웹 기술을 알고 있어야 하는 경우가 늘고 있습니다. 이는 디자인 요소를 직접 구현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웹 디자인 분야에서 일하는 경우에는 CSS를 알고 있으면 더욱 유리합니다.
피그마에서도 css코드로 내보내주는 기능이 있습니다.
Inspect 창에서 해당 디자인의 css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오늘은 Padding과 Margin의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padding은 요소 내부에 있는 콘텐츠와 테두리(border) 간의 간격을 지정하는 속성입니다. 즉, padding은 요소의 내부 공간을 조절합니다. padding의 값이 클수록 요소 내부의 콘텐츠가 테두리와 더 멀어지게 됩니다.
margin은 요소와 요소 간의 간격을 지정하는 속성입니다. 즉, margin은 요소의 외부 공간을 조절합니다. margin의 값이 클수록 요소와 요소 간의 간격이 더 멀어집니다.
예를 들어, "padding: 100px"으로 설정하면 요소의 내부에 있는 모든 콘텐츠와 테두리 간에 100px의 간격이 자동으로 적용됩니다.
"margin: 30px"으로 설정하면 요소와 요소 간에 30px의 간격이 자동으로 적용됩니다.
margin은 요소의 외부 여백을 지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즉, 요소의 테두리와 주변 요소 사이의 공간을 지정합니다. margin은 요소의 위치와 주변 요소들과의 간격을 조절하는 데 사용됩니다. margin은 요소의 전체 크기에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CSS 코드를 살펴보겠습니다.
```
div {
width: 200px;
height: 100px;
border: 1px solid black;
padding: 10px;
margin: 20px;
}
```
이 코드는 div 요소를 생성하고, 해당 요소에 대해 width, height, border, padding, margin을 지정합니다. 이 경우, div 요소의 실제 크기는 width + (border * 2) + (padding * 2) = 222px x height + (border * 2) + (padding * 2) = 122px입니다. 또한, div 요소와 주변 요소들과의 간격은 margin 값에 따라 결정됩니다.
따라서, padding과 margin은 각각 다른 기능을 수행하므로, 디자인 작업 시에 요소의 내부 간격을 조절해야 하는 경우 padding을 사용하고, 요소 간의 간격을 조절해야 하는 경우 margin을 사용합니다.
Letape Figma 레탑피그마
figma 웹기획 UI/UX 전문 교육
www.letapefigma.com
AI가 이미지 채워주는 포토샵 Generative fill (0) | 2023.07.03 |
---|---|
Visual Hierarchy(시각적 위계)의 중요성 (0) | 2023.07.03 |
앱작업 화면크기는? 375? 360? (0) | 2023.07.03 |
스플래시 이미지가 placeholder 이미지라고? (0) | 2023.07.03 |